Cargando…
어느 시골 농부의 ‘반의사’(半醫師) 되기: 『대곡일기』로 본 1960-80년대 농촌 의료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ew the reality of rural health care in Korea from the 1960s to the 1980s by analyzing the Daegok Diary. There has been two myths about rural healthcare. One is that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medicine was replaced by folk medicine, which could be identified with folk r...
Formato: | Online Artículo Texto |
---|---|
Lenguaje: | English |
Publicado: |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2018
|
Materias: | |
Acceso en línea: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565051/ https://www.ncbi.nlm.nih.gov/pubmed/30679411 http://dx.doi.org/10.13081/kjmh.2018.27.397 |
Ejemplares similares
-
후지타 쓰구아키라의 생애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의학/의료/위생
Publicado: (2016) -
1950년대 중국의 파블로프 학설 수용과 의료 체계의 변화 -보호성(保護性) 의료 제도의 확립을 중심으로(†)
Publicado: (2020) -
한국 농촌 후기 청소년 여성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ublicado: (2020) -
의료 영상에 최적화된 딥러닝 모델의 개발
Publicado: (2020) -
근대기 의료 윤리로서의 ‘인술’의 재탄생(†)
Publicado: (2023)